아트포스터(저).jpg
2025 제 10회 전국토종벼농부대회

"토종벼, 다시 관계를 맺다"
 
1910년 일제강점기 이후 잊혀진 토종벼 품종들이
하나둘씩 복원되고 세상에 드러나고 있다.
씨앗의 복원을 너머 쌀로, 밥으로, 술로, 그리고
다양한 가공 음식으로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쉼없이 이어진 생명력처럼 토종벼는 지금, 여기뿐만 아니라
향후, 미래로 이어질 것을 믿으며, 과거에 맺어졌던 수많은 관계들이
다시 한번 맺어지기를 기대하며 대회를 연다.


주최  |   전국토종벼농부들
주관  |   우보농장 / 여주시토종벼조동지작목반
일시  |   2025년 4월 4일 오후 2시-오후 6시
장소  |   여주시 전북리 259-2 우보농장



참가비 안내

1인 - 30,000원 (보호자를 동반한 미성년자는 무료)
입금처 : 농협 351-1008-6279-83 전국토종벼농부들

* 막걸리 시음회가 있으므로 행사 진행 중 현장에서 별도의 확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분증을 지참해주세요.

신청방법

참가비 입금 후 구글신청서 제출

* 정상적으로 신청서가 제출 되면 입력한 이메일로 작성한 내용 사본이 발송됩니다.
정상적으로 제출 되었는지 제출 후 이메일을 꼭 확인해주세요


프로그램

1부
토종벼 심포지엄
(14:00-16:00)



Part 1. 토종벼의 미래
우봉희(주나미) - 토종벼, 기후 위기와 벼 면적 감소의 대안을 찾다 
김영대(맑똥정미소) - 소농과 토종벼, 그리고 작은정미소
이보은(마르쉐) - 농부시장에서 연결되고 넓어지는 토종쌀 이야기
김동규(동네정미소) - 토종쌀의 미래를 위한 해외 공간과 경험들


Part 2. 토종쌀의 가능성
장여름(토종쌀 주모) - 토종쌀과 품종별 막걸리
이영민(공간사부작) - 토종쌀 이해를 위한 여정
이주연(리피칩) - 토종쌀, 디저트로 피어나다: 맛과 가능성 탐구
이근이(우보농장) - 108주모와 108품종, 그리고 108가지 막걸리


Part 3. 세계 토종벼 농부 대회를 위하여
김현숙(생태미식학교) - 세계 토종벼 농부들_베트남과 인도 농부
황희선(인류학자) - 세계 토종벼 농부들_대만, 인도네시아 농부
이동범(국가유산활용학회) - 조동지의 농업분야 유산의 가능성










2부
토종쌀 막걸리 시음회
(16:00-18:00)

108주모와 결합된 108품종 가운데
일제 강점기 전국 16도를 대표했던 품종 16가지로
빚은 막걸리를 선정하여 시음회 개최

지역 / 품종 / 주모
강원 - 장삼도 - 나민희
경기 - 조동지 - 이명자
경남 - 불도 - 박효례
경북 - 까투리찰 - 오수정
서울 - 백석 - 김주영
전남 - 홍두나 - 김유라
전북 - 각시나 - 이만수
제주 - 흑산조 - 김동규
충남 - 쇠머리지장 - 남궁승
충북 - 대궐도 - 지영섭
평남 - 북흑조 - 이혜선
평북 - 해조 - 박정록
함남 - 강릉창 - 고지은
함북 - 흑갱 - 박중구
황남 - 무모나 - 문지영
황북 - 구령찰 - 유광호

토종볍씨 나눔 & 전시
(16:00-18:00)

2025년 선발된 주력 토종볍씨 나눔
​​

오시는 길



대중교통 이용 시 : 양평4-2번 버스 노선 참고하시어
'전북리 종점'에서 하차. 

​​


우보님의 프로그램에 대한 이야기

4월 4일 개최되는 전국토종벼대회의 심포지엄 발표자와 주제가 정해졌다.

”토종벼, 다시 관계를 맺다“라는 슬로건은 1910년 이전과 2025년 이후의 토종벼의 변화상을 염두한 것이다.

과거가 어찌되었는지를 아는 것과 미래는 어찌해야하는지를 탐구하는 것! 심포지엄에서 논의할 것들이다.

Part1에서는 기후위기라는 절체절명의 시대를 사는 우리 시대 대표 식량 작물인 벼는 어찌 대처할 것인지, 막무가내로 논을 줄이려는 현 정부의 논 축소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토종벼 재배에서 힌트를 얻을 수는 없는지 따져볼 생각이다. 그리고 소농과 뗄레야뗄수없는 토종벼의 관계에 천착하는 맑똥 김영대의 견실함과 10여년 긴 인연을 맺은 토종쌀과 마르쉐의 끈끈하고 애정어린 인연을 이보은님이 이야기한다. 최근 쌀 탐구를 위해 외국의 시장을 둘러본 동네정미소 김동규 대표의 소중한 체험도 들려줄 예정이다.

Part2는 가공의 영역을 다룬다. 토종쌀에 한번 빠져 헤어나질 못하는 토종쌀 막걸리 주모 장여름님의 지난 3년간 빚어본 품종별 막걸리 이야기, 밥이란 무엇이며, 각각의 다양한 품종의 밥짓기는 어떻게 해야하며, 밥짓는데도 철학이 필요하다는 이영민 공간사부작 대표의 토종쌀밥 이야기, 그리고 최근 토종 쌀가루로 다양한 프랑스식 간식을 만들어 실험에 돌입한 리피칩의 이야기, 마지막으로 수많은 토종볍씨를 복원한 이후 이를 세상에 알리는 방법으로 108가지 품종과 인연 맺은 108주모 양성(1주모 1품종 살리기) 과정과 품종별 시음회를 추진해온 우보농장 이근이 대표의 이야기를 듣는다.

Part3는 올해 반드시 추진해 보려는 “세계토종벼 농부대회” 관한 섹션이다. 생태미식학교 김현숙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인도의 농부들을 만나 느낀 점과 그들과 관계를 맺어 할 수 있는 일을 찾으려 하고 있다. 또한 세계토종벼 대회에 함께할 대만과 인도네시아 쪽 농부들을 황희선 님이 컨텍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우리는 지금까지 하나의 품종이 누구의 손에서 자라 그 지역의 대표적인 먹을거리가 되었고 전국으로 퍼져 나갔는지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 품종에 대한 유일한 기록이 남아있는 품종이 “조동지” 하나뿐이다. 국가유산활용학회 이동범 회장이 조동지라는 벼 품종 하나가 농업 분야 유산으로 과연 등재할 수 있는지, 있다면 과정은 어떠해야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줄 것이다.
농부대회 아카이브